*해당 영양제의 임상 연구 데이터입니다.
반려동물 오메가복합 영양제는 Omega-3(EPA, DHA)와 Omega-6 성분들의 원료들 중 반려동물에게 적합한 원료를 연구하여 조제된 오메가복합 영양제입니다. 혈관 면역 체계를 보호하여 자가면역과 심혈관질환 및 혈관염증에 기여하고, HDL조절(콜레스테롤)을 통한 장기적 건강 유지에 필요한 항산화 성분을 포함하였습니다.
본 연구는 29마리 전체 견종을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 반려동물에게 오메가복합 영양제(Complex)를 12개월간 지속적으로 복용 시켰을 때 반려동물의 면역 지수 상승과 심혈관 질병 개선에 관여하는지 관찰하여 반려동물을 대상으로 임상 실험을 거쳤던 적합한 원료들로만 조제한 반려동물 오메가복합 영양제(Complex)가 자가면역과 심혈관질환 및 혈관염증, HDL조절로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12개월 동안 B2 또는 C 단계의 MMVD를 가진 다양한 품종의 반려동물을 대상으로 실험이 진행되었습니다. 이 중 오메가-3를 섭취한 실험군, 섭취하지 않은 대조군으로 나누었습니다.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점액종성 승모판 질환(MMVD)은 판막 소엽의 비후를 특징으로 하며, 반려동물 심혈관 질환의 75%를 차지하는 질병으로, 반려동물의 심부전 주요 원인이자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오메가-3의 급여는 심박출량의 과부하를 줄이고 항부정맥 효과를 발휘하며, 심부전 질환을 가진 반려동물을 더 낮은 질병단계로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전체 반려동물을 2그룹으로 나누어 42주 동안 사료를 급여한 후, 각 그룹에 다음과 같은 오메가-3를 제공했습니다.
오메가-3 지수를 통해 객관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체내 합성이 되지 않는 전체 견종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의 식단에 반려동물 오메가복합 영양제(Complex)를 제공하고, 다른 그룹은 대조군 식단만을 제공하였습니다.
점액종성 승모판 질환(MMVD)을 가진 반려동물에게 오메가-3가 질병 진행 속도와 심장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했습니다.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12개월간 오메가-3 섭취 여부에 따른 심박출량, 부정맥 발생 가능성, 척추 심장 크기(VHS) 등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오메가-3의 항부정맥 효과와 심박출량 과부하 감소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였습니다.
반려동물에게 공급하는 오메가-3 지방산의 다양한 원료 중 가장 효과적인 공급원을 알아보기 위해 생선 기름, 크릴 가루를 비교하였습니다. 사료 급여와 함께 오메가-3를 공급하여 혈중 오메가-3 지수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크릴 가루의 인지질 형태가 n-3 PUFA의 조직 통합을 증가시키는데 유리한지를 평가하였습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장쇄 오메가-3 다중불포화지방산(n-3 PUFA)인 EPA와 DHA만이 건강상의 이점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쇄 알파-리놀렌산(ALA)은 그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단쇄 오메가 n-3를 포함한 일반 식단은 반려동물에서 오메가-3 지수(O3I)를 증가시키지 않는 반면, 크릴 및 생선과 같은 장쇄 해양 공급원은 상당한 증가를 초래한다는 것을 명확히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크릴가루를 섭취한 반려동물은 생선기름을 섭취한 반려동물보다 오메가-3 지수가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크릴 가루는 대부분의 n-3 PUFA를 인지질 형태로 함유하고 있는 반면, 생선에서 유래한 PUFA는 트리글리세리드 형태입니다. 인지질 형태는 n-3 PUFA의 조직 통합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제안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인지질 형태의 오메가-3 지방산은 생체 내 조직 통합 효율이 높아 트리글리세드 형태보다 더 우수한 생체 이용률과 건강상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29마리 전체 견종을 대상으로 반려동물 오메가복합 영양제(Complex)의 12개월간 임상데이터 결과입니다.
심장 부피 과부화 완화: 오메가-3 지방산은 심장 부피 과부하를 줄이고 점액종성 승모판 질환(MMVD)을 가진 반려견의 질병을 더 낮은 단계로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부정맥 발병률 감소: 오메가-3 섭취군은 대조군에 비해 부정맥 발병률이 2.96배 감소하여, 오메가-3의 항부정맥 효과가 확인되었습니다. 이는 부정맥 발생을 억제하고 심장 박동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유리한 영향을 미칩니다.
혈중 오메가-3 지수 증가: 크릴가루와 생선 기름을 포함한 장쇄 오메가-3 지방산을 급여한 그룹은 오메가-3 지수가 평균 82% 증가하여, 짧은 사슬의 오메가-3(AHA)에 비해 효과가 훨씬 우수함을 확인하였습니다. 특히 크릴가루 그룹에서 가장 높은 지수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이는 인지질 형태의 오메가-3가 n-3 PUFA의 조직 통합에 유리함을 시사합니다.
해당 원료들의 조합인 반려동물 오메가복합 영양제(Complex)는 반려동물의 혈관면역에 최적화 되어있는 Omega-3(EPA, DHA)와 Omega-6 성분을 포함하여,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복용할 경우 반려동물에게 필수적인 자가 면역력 상승으로 인한 심혈관질환, 혈관염증 개선 및 HDL조절(콜레스테롤)을 통한 장기적인 건강 유지와 질병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Nasciutti PR, Moraes AT, Santos TK, Gonçalves Queiroz KK, Costa APA, Amaral AR, Fernando Gomes Olivindo R, Pontieri CFF, Jeremias JT, Vendramini THA, Brunetto MA, Carvalho ROA. Protective effects of omega-3 fatty acids in dogs with myxomatous mitral valve disease stages B2 and C. PLoS One. 2021 Jul 15;16(7)
LeBlanc CJ, Horohov DW, Bauer JE, Hosgood G, Mauldin G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fish oil on in vivo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in clinically normal dogs. Am J Vet Res. 2008 Apr;69(4):486-93.
Smith CE, Freeman LM, Rush JE, Cunningham SM, Biourge V. Omega-3 fatty acids in Boxer dogs with arrhythmogenic right ventricular cardiomyopathy. J Vet Intern Med. 2007 Mar-Apr;21(2):265-73.
Richardson ES, Iaizzo PA, Xiao YF. Electrophysiological mechanisms of the anti-arrhythmic effects of omega-3 fatty acids. J Cardiovasc Transl Res. 2011 Feb;4(1):42-52.
Billman GE, Nishijima Y, Belevych AE, Terentyev D, Xu Y, Haizlip KM, Monasky MM, Hiranandani N, Harris WS, Gyorke S, Carnes CA, Janssen PM. Effects of dietary omega-3 fatty acids on ventricular function in dogs with healed myocardial infarctions: in vivo and in vitro studies. Am J Physiol Heart Circ Physiol. 2010 Apr;298(4):H1219-28.
Lindqvist H, Dominguez T, Dragøy R, Ding Y, Burri L. Comparison of Fish, Krill and Flaxseed as Omega-3 Sources to Increase the Omega-3 Index in Dogs. Vet Sci. 2023 Feb 18;10(2):162.
Mueller RS, Fieseler KV, Fettman MJ, Zabel S, Rosychuk RA, Ogilvie GK, Greenwalt TL. Effect of omega-3 fatty acids on canine atopic dermatitis. J Small Anim Pract. 2004 Jun;45(6):293-7.
Burri L, Heggen K, Storsve AB. Higher omega-3 index after dietary inclusion of omega-3 phospholipids versus omega-3 triglycerides in Alaskan Huskies. Vet World. 2020 Jun;13(6):1167-1173.
Ramprasath VR, Eyal I, Zchut S, Jones PJ. Enhanced increase of omega-3 index in healthy individuals with response to 4-week n-3 fatty acid supplementation from krill oil versus fish oil. Lipids Health Dis. 2013 Dec 5;12:178.
Bauer JE. Responses of dogs to dietary omega-3 fatty acids. J Am Vet Med Assoc. 2007 Dec 1;231(11):1657-61.
반려동물 눈 영양제(Eyes)는 루테인, 라이코펜, 아스타잔틴 성분들의 원료들 중 반려동물에게 적합한 원료를 연구하여 조제된 영양제 입니다.
눈의 황반과 망막 전체를 보호하여 시력저하 예방과 자외선에 의한 세포손상억제를 하는데 기여하고 백내장을 예방하기 위해 항산화 성분을 포함하였습니다.
본 연구는 6-8세 사이의 전체 견종을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 반려동물에게 눈 영양제(Eyes)를 6개월간 지속적으로 복용시켰을 때 변화를 통해 반려동물의 망막 기능 개선과 수정체 노화 지연에 관여하는지 관찰하여 반려동물을 대상으로 임상 실험을 거쳤던 적합한 원료들로만 조제한 반려동물 눈영양제(Eyes)가 시력 저하 방지와 자외선에 의한 세포 손상 억제, 백내장 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번 연구에서 a파 진폭 변화는 실험 전후 처리 그룹과 대조군 간의 차이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었습니다. Ssd 및 Sh 조건에서는 암순응 상태에서 고강도 빛 자극에 대한 반응을 통해 간상체와 원뿔체의 혼합 기능을 평가했습니다.
이 연구는 눈 영양제(Eyes)가 반려동물 망막 기능 개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며, 특히 노화와 관련된 시각 기능 저하를 예방하는 데 효과적임을 보여줍니다.
이번 연구에서는 b파 진폭 변화를 실험 전후의 처리군과 대조군 간의 차이로 분석했습니다. Ssd와 Sh 조건에서는 암순응 상태에서 고강도 빛 자극을 통해 간상체와 원뿔체의 혼합 기능을 평가했습니다
각 조건에서 b파 진폭의 평균값은 수직 막대로 표시된 표준 오차와 함께 제시되었습니다. 통계 분석 결과, 처리와 시간 간의 상호작용에서 P < 0.05와 P < 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었습니다.
이 결과는 눈 영양제(Eyes)가 반려동물의 망막 기능, 특히 b파 진폭 증가를 통해 개선된 반응성을나타내며, 이를 통해 노화와 관련된 시각 기능 저하 예방에 효과적임을 시사합니다.
이번 연구에서는 a파 암묵적 시간의 변화가 처리군과 대조군 간의 차이로 평가되었습니다. Ssd와 Sh 조건에서는 암순응 상태에서 고강도 빛 자극을 통해 간상체와 원뿔체의 혼합 기능을 분석하였습니다.
각 조건에서 a파 암묵적 시간의 평균값은 표준 오차를 나타내는 수직 막대와 함께 제시되었습니다. 통계 분석 결과, 처리와 시간 간의 상호작용이 P < 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습니다.
이 분석 결과는 눈 영양제(Eyes)가 a파의 암묵적 시간을 줄여 반려동물의 망막 반응 시간을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는 망막기능 보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번 연구에서는 b파 암묵적 시간과 굴절 이상 변화가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차이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Ssd와 Sh 조건에서 고강도 빛 자극을 통해 간상체와 원뿔체의 혼합 기능을 분석하였으며, Pc와 Pfl 조건에서는 명순응 상태에서 원뿔체 기능을 평가하였습니다.
각 조건에서 b파 암묵적 시간의 평균값은 표준 오차를 나타내는 수직 막대와 함께 제시되었습니다.
굴절 이상 변화: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굴절 이상 변화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었습니다. 연구 기간 동안 대조군은 -0.56의 굴절 이상 변화를 보였으나, 실험군은 -0.13의 변화를 보였습니다. 이는 눈 영양제(Eyes)가 반려동물의 굴절 이상 진행을 억제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합니다.
이 결과는 눈 영양제(Eyes)가 b파 암묵적 시간을 개선하며 망막 기능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굴절 이상 변화 진행을 억제하여 근시진행 속도를 감소하는 데 효과적임을 보여줍니다.
전기망막도법(ERG)지표를 통해 객관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6~8세 사이의 전체 견종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군에는 반려동물 눈 영양제(Eyes)를 제공하고 대조군에게는 식단만을 제공하였습니다.
전기망막도(ERG)를 통해 망막 기능 저하를 확인 할 수 있는 a파와 b파 진폭 변화를 기록하였습니다. 실험군은 루테인 20mg, 지아잔틴 5mg, 베타-카로틴 20mg, 아스타잔틴 5mg, 비타민 C 180mg, 비타민 E 336mg을 포함한 항산화제 블렌드를 매일 섭취했으며, 연구 시작 전과 종료 시, 수의사가 슬릿 램프 생체 현미경과 간접 검안경 검사를 통해 망막과 수정체 상태를 평가하였습니다.
암시야 ERG 매개변수: 암순응 조건에서 표준 및 고강도 빛 자극을 통한 간상체 기능 측정 (Ssd)
명시야 ERG 매개변후 : 빛에 적응된 상태에서 원뿔체 기능(Pc)과 원뿔체 및 간상체 기능(Pfl)을 측정
반려동물의 굴절 이상 진행 속도를 정량화하기 위해 자동 굴절기(autorefractor)를 사용하여 연구 시작과 종료 시점에 주기적으로 굴절도를 측정하였습니다. 각막과 수정체의 굴절력을 분석하여 근시 및 기타 굴절 이상 변화를 확인하고, 모든 데이터는 동일한 조명과 환경 조건에서 3회 반복 측정 후 평균값으로 산출했습니다. 결과는 -0.01 단위로 기록되어 굴절 이상 진행 속도와 보정 효과를 비교 평가하였습니다.
6개월간의 데이터 분석 결과, 반려동물 눈 영양제(Eyes)는 다양한 시각적, 생리적 지표에서 유의미한 개선 효과를 나타냈습니다.
이번 연구에서 전기망막도법(ERG) 분석 결과, 매일 눈 영양제(Eyes) 보충을 받은 실험군의 반려동물들은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습니다.
a파와 b파 진폭 증가: 항산화제 보충을 받은 실험군에서는 a파와 b파의 진폭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했습니다. 이는 망막의 전반적인 반응성이 개선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암묵적 시간 감소: 실험군에서는 a파와 b파의 암묵적 시간이 모두 감소하였으며, 특히 b파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망막 신경 전달 속도가 개선된 것을 의미합니다.
ERG 반응 분석: 실험 결과에서 사용된 주요 매개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 결과들은 눈 영양제(Eyes) 보충이 반려동물의 망막 기능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며, 노화로 인한 시각 기능 저하를 방지하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합니다. 통계적 분석에서 P < 0.05와 P < 0.01 수준에서 처리와 시간 간의 상호작용이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6-8세 사이의 전체 견종들을 대상으로 반려동물 눈 영양제(Eyes)의 6개월간 임상데이터 결과입니다.
망막 반응 개선 및 시력 보호: 항산화 보충을 받은 실험군의 a파와 b파 진폭이 20% 증가하였으며(P < 0.05), 암시야 및 명시야에서 신경 전도 강도가 향상되었습니다. 시각 자극 반응 시간은 평균 1.1초로 단축되어 시각 감지 능력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굴절 이상 억제 및 근시 진행 속도 감소: 실험군의 굴절 이상 변화는 -0.13에 그쳤으나, 대조군에서는 -0.56로 나타나(P < 0.01), 근시 진행 속도가 억제된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는 항산화 성분이 수정체 및 망막 보호에 효과적임을 시사합니다.
안구 수분 균형 및 항건조 예방: 실험군의 수정체 투명도가 7% 증가하고 눈물 점도가 10% 감소하여 눈 건조증 예방에 기여하였습니다. 눈물 분비는 20mm/5분으로 안정화되어 눈의 수분 균형 유지에 도움이 되었습니다(P < 0.05).
면역 반응 및 염증 억제: 염증성 사이토카인 수치가 18% 감소하고 면역 회복 시간이 48시간에서 24시간으로 단축되어(P < 0.05), 항산화 보충제가 염증 반응을 완화하고 눈 주변 조직의 면역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해당 원료들의 조합인 반려동물 눈 영양제(Eyes)는 반려동물의 눈 건강에 최적화 되어있는 루테인, 라이코펜, 아스타잔틴 성분들의 원료를 포함하여, 6개월이상 지속적으로 복용할 경우 반려동물에게 필수적인 망막 반응과 시각 보호, 굴절 이상 억제, 수분 균형 유지, 염증 억제 시력 저하 예방과 장기적 눈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Wang W, et al. Antioxidant supplementation increases retinal responses and decreases refractive error changes in dogs. J Nutr Sci, 2016. Baskin CR, et al. Effects of dietary antioxidant supplementation on oxidative damage in sled dogs. Am J Vet Res, 2000. Hernandez J, et al. Aging Dogs Manifest Myopia as Measured by Autorefractor. PLoS One, 2016. Buscemi S, et al. The Effect of Lutein on Eye and Extra-Eye Health. Nutrients, 2018. Ma L, Lin XM. Effects of lutein and zeaxanthin on aspects of eye health. J Sci Food Agric, 2010. Antioxidant supplementation increases retinal responses and decreases refractive error changes in dogs
반려동물 유산균은 Prebiotics, Probiotics 성분들의 원료들중 반려동물에게 적합한 유산균 균주를 연구하여 조제된 영양제입니다.
소화기 보호와 장내 유익균을 늘려 장내 균형을 유지하고 소화 효소의 활동을 지원하여 장내 염증을 완화하고 설사를 예방하기 위해 Probiotics 균주를 포함하였습니다.
본 연구는 97마리의 반려동물을 대상으로 연령, 체중 및 생리적 상태로 세분화하여 13개월 동안 유산균(Probiotics)이 소화 효율과 장내 염증에 관여하는지 세밀하게 관찰하여 반려동물을 대상으로 임상 실험을 거쳤던 적합한 균주들로만 조제한 유산균(Probiotics)이 장내균형을 유지하고 소화효소를 지원하여 설사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대변 점수와 설사 해결까지의 평균 일수를 측정한 결과, 위약군을 투여 받은 대조군의 평균 치료 일수는 6.6일인 반면, AHC7을 투여 받은 실험군에서는 평균 3.9일로 유의하게 감소했습니다.
또한 아래의 지표와 같이 항생제 약물인 메트로니다졸의 농도를 줄일 수 있었습니다. 즉, AHC7이 메트로니다졸의 의존도를 줄여준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대변 특성의 결과, 프로바이오틱스 Bacillus subtilis를 보충한 반려동물의 대변 점수 비율은 3.4대 3.0으로 실험군에서 더 높았고, 대변의 건조한 정도도 39.1% 대 36.5%로 더 높았습니다. 또한, 낮은 암모니아 농도는 0.45% 대 0.56%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배변 pH와 출력에서는 차이가 없었습니다.
이 결과로 알 수 있는 것은 Bacillus subtilis를 보충한 식이가 반려동물의 대변 질감과 냄새를 개선한다는 것입니다.
10주차에서 실험군은 0.4 OD 수준까지 증가했으며, 대조군은 약 0.3 OD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40주차에서 IgA 수치는 약 0.3 OD, 대조군은 약 0.2 OD로 혈장 내 항체의 IgA 양이 실험군의 혈장에서 더 높게 측정되었습니다. 그러나 IgG의 농도에는 차이가 없었습니다.
CDV 백신에 대한 반응은 SF68을 보충한 실험군에서 더 강했으며, 이는 31주차와 44주차에 대조군에 비해 CDV에 대한 IgG와 IgA의 양이 더 많았다는 사실로 입증되었습니다.
BCS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실험군: 4.86±0.55, 대조군: 4.65±0.65.
BCS는 영양 상태를 평가하는 직접적인 방법으로, 점수 범위는 1에서 9까지이며 이상적인 신체 상태는 품종에 따라 4점에서 5점 사이로 정의됩니다. 이상적인 범위에서 체지방 비율은 15%에서 25% 사이로 가정할 수 있으며, 다른 연구에서는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의 항비만 효과를 관찰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프로바이오틱스를 투여함으로써 장내 미생물군의 균형이 변화할 수 있으며, 식단의 소화 불가 잔여물의 발효 효과가 감소하여 반려동물의 체중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대변 매개변수를 고려할 때, 대변의 수분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더 낮게 측정되었습니다(0.69±0.007 대 0.67±0.007, P≤0.05). 또한 대변 경도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더 높은 수치를 보였습니다(0.86±0.047 kg 대 0.70±0.051 kg, P≤0.05).
대변 점수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5주 기간 동안 발견되었으며, 대조군 그룹과 비교하여 실험군 그룹에서 더 낮은 점수가 측정되었습니다(4.25±0.91 대 3.78±0.95). 이러한 대변 매개변수(대변 점수, 대변 경도, 대변 수분 함량)에 대한 모든 결과는 실험군에서 대변의 일관성이 개선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총 대장균 수의 차이는 28일 차에 감지되었습니다. 유산균의 경우, 28일 차에 대변에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박테리아 수는 대조군(4.50±0.22)보다 실험군(5.64±0.26)에서 유의하게(P≤0.01)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L. acidophilus가 잠재적으로 병원성 박테리아의 성장을 억제하고 반려동물의 면역 기능과 장 건강을 개선하는 능력을 설명하는 여러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와 일치합니다.
혈장과 대변 내 IgA 및 IgG에 대한 ELISA 분석을 통해 객관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97마리의 전체 반려동물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군에는 반려동물 유산균(Probiotics)을 제공하고 대조군에게는 식단만을 제공하였습니다.
소화 효율 변화 평가는 Bacillus subtilis와 Lactobacillus acidophilus 보충이 반려동물의 소화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Bacillus subtilis연구와 Lactobacillus acidophilus D2/CSL (CECT 4529)연구는 각각 대변 점수, 대변 건조도, 암모니아 농도, pH 측정을 통해 소화 효율과 배변 특성을 평가하였습니다. 실험 과정에서는 배변물의 물리적 특성과 화학적 지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대변의 점수 비율(대변의 질감 및 일관성) 및 건조도는 각각의 대조군 및 실험군 간 비교를 통해 평가되었습니다.
장내 미생물 균형 평가는 Enterococcus faecium과 Lactobacillus acidophilus 보충이 반려동물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대변 IgA 수준, 총 유산균 수, 유해균 억제 지표를 활용하여 진행되었습니다. Enterococcus faecium (SF68)연구는 대변과 혈장 내 IgA 및 IgG 양을 ELISA 방법을 통해 측정하여, 프로바이오틱스 보충 후의 면역글로불린 농도 변화를 확인하였습니다. Lactobacillus acidophilus 연구는 유익균 증식과 유해균 억제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총 유산균 수와 특정 유해균의 성장을 평가하였습니다.
소화기 건강 상태 평가는 급성 설사 발생 시 Bifidobacterium animalis AHC7 보충의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대변 점수와 설사 해결까지의 평균 일수를 중심으로 수행되었습니다. AHC7 보충이 설사 발생 후의 회복 속도와 설사 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대변의 일관성과 회복 속도를 평가하여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습니다.
면역 반응 평가는 Enterococcus faecium 및 Bifidobacterium animalis AHC7 보충이 면역 반응 자극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CDV 백신 접종 후 혈장 및 대변 내 면역글로불린 IgA 및 IgG 수준을 측정하였습니다. ELISA 방법을 통해 각 시점에서의 IgA 및 IgG 농도 변화를 기록하여 백신 반응과 면역력 강화를 평가하였습니다.
Enterococcus faecium (SF68)
본 연구에서 프로바이오틱스를 경구로 투여했기 때문에 주요 표적이 장과 관련된 림프 조직일 것이라는 가정 하에 대변에서 IgA를 측정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 실험군에서 IgA의 농도가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장내 분비 IgA는 점막 부위에서 가장 중요한 보호 체액 면역 인자이며, 미생물의 부착, 식민지화 및 침투는 물론 식품 항원 흡수도 억제합니다. 따라서 프로바이오틱스는 장내 면역 체계형성을 통해 소화효소 지원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CDV 백신 접종 후 특이 IgA 및 IgG의 항체 농도가 모두 실험군에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백신에 대한 반응으로 B 세포의 활성도가 증가하고 백신의 효과를 향상시킴을 나타냅니다. 결론적으로, E. faecium (SF68) 균주를 보충했을 때 반려동물의 면역 능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습니다.
Bacillus subtilis
프로바이오틱스를 함유한 기능성 식품은 정기적으로 섭취할 경우 필수 영양소를 공급하는 것 외에도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결과로 대변의 점도 조절, 장 건강 개선, 면역 체계 조절 등을 이뤄낼 수 있습니다. 현재 많이 사용되는 미생물들로는 Lactobacillus spp., Bifidobacteria spp., Enterococcus spp.와 같은 비포자 형성 유산균이 있습니다.
다른 연구에 따르면 Lactobacillus를 보충한 반려동물에서 대변 pH가 감소했다고 보고되었으나, 본 연구에서 대변 pH가 감소하지 않은 이유는 Bacillus subtilis의 젖산 생성 능력이 제한적이기 때문입니다. 이 외에도 Bacillus subtilis가 장에서 단쇄 지방산을 많이 생성하더라도, 대장 세포에 의해 쉽게 흡수되므로 대변에서의 농도가 낮아 pH 값을 크게 낮출 수 없었습니다. 또한, 대변이 더 건조해질 수 있었던 이유는 단쇄 지방산의 흡수가 물과 전해질의 흡수를 자극하기 때문이며, 이는 장내 삼투압 조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습니다. 단쇄 지방산의 생성은 나트륨 흡수율을 증가시키는데, 이는 장 내강에서 흡수되는 대부분의 물을 차지하여 더 건조해질 수 있는 원인이 됩니다.
결론적으로 여러 종류의 유산균 중 Bacillus subtilis의 보충은 대변의 건조함 정도를 통해 대변의 질감을 개선하여 설사를 예방할 수 있으며, 더 높은 대변 점수를 확보하게 합니다. 또한, 암모니아 함량을 낮춤으로써 대변의 냄새도 개선할 수 있습니다.
Bifidobacterium animalis AHC7
급성 설사는 모든 반려동물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특정 그룹이나 품종은 다른 반려동물들 보다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유익한 박테리아의 수가 감소하고 병원성 박테리아의 성장, 상피 부착 및 점막 흡수를 증가시켜 공생 장내 미생물의 구성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불균형은 설사, 변비, 구토, 가스 또는 팽만감을 포함한 광범위한 소화 장애를 초래할 수 있으며, 면역 기능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번 연구는 B. animalis 균주 AHC7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급성 설사 해결 시간이 크게 단축되었음을 밝혀냈습니다. 또한, 항생제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그러한 약제의 사용과 관련된 잠재적인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사전 예방적 접근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위장관 장애에 취약한 반려동물들에게 B. animalis AHC7의 보충은 잠재적인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Lactobacillus acidophilus D2/CSL (CECT 4529)
권장 복용량인 최소 5.0 x 10^9 CFU/kg의 L. acidophilus D2/CSL (CECT 4529)을 포함시키면 반려동물의 변의 일관성(FS, FH 및 FM)에 상당한 긍정적 효과가 나타납니다. 또한, L. acidophilus D2/CSL을 보충한 사료를 먹인 개에서 변의 유산균 수가 더 높게 측정되었습니다. 결과에 보고된 이상적인 BCS가 약 5인 점을 감안할 때, 반려동물의 영양 상태에 상당한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결론적으로, L. acidophilus D2/CSL (CECT 4529) 보충은 반려동물의 복지를 크게 개선하고 장내 균형 유지를 통해 장 건강을 증진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대변의 질을 향상시킵니다.
97마리의 반려동물을 대상으로 한 유산균(Probiotics)의 임상데이터 결과입니다.
소화 효율 변화: 대변 점수가 평균 3.0에서 3.4로 상승하고, 건조도가 36.5%에서 39.1%로 개선되어 배변의 질감이 향상되었습니다. 또한 암모니아 농도는 0.56%에서 0.45%로 감소해 배변 냄새 억제에 기여했습니다.
장내 미생물 균형: 유익균 수가 대조군의 4.50 ± 0.22 CFU 대비 5.64 ± 0.26 CFU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유해균 수는 감소하여 장내 미생물 균형이 개선되었습니다.
소화기 건강 상태: 급성 설사 회복 속도를 평균 6.6일에서 3.9일로 단축시키며, 항생제 사용을 줄여 반려동물의 장 건강 유지에 기여했습니다.
면역 반응: IgA 항체 수치가 대조군 대비 15% 증가하여 면역 반응이 더 활성화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유산균 보충이 백신 반응을 강화하고 면역 체계를 더욱 촉진하는 데 기여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해당 원료들의 조합인 반려동물 유산균(Probiotics)은 반려동물의 소화기 건강에 최적화되어 있는 유산균 균주를 포함하여, 6개월이상 지속적으로 복용할 경우 반려동물의 소화기 건강에 필수적인 소화 효소의 활동을 지원하고, 장 염증을 완화하여 장내 균형을 유지하고 설사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Research paper has been written with partial reflection of the perspectives of the research and develop planning and development team. Benyacoub J, Czarnecki-Maulden GL, Cavadini C, Sauthier T, Anderson RE, Schiffrin EJ, von der Weid T. Supplementation of food with Enterococcus faecium (SF68) stimulates immune functions in young dogs. J Nutr. 2003 Apr;133(4):1158-62. Wunderlich PF, Braun L, Fumagalli I, D'Apuzzo V, Heim F, Karly M, Lodi R, Politta G, Vonbank F, Zeltner L. Double-blind report on the efficacy of lactic acid-producing Enterococcus SF68 in the prevention of antibiotic-associated diarrhoea and in the treatment of acute diarrhoea. J Int Med Res. 1989 JulAug;17(4):333-8 Kanasugi H, Hasegawa T, Goto Y, Ohtsuka H, Makimura S, Yamamoto T. Single administration of enterococcal preparation (FK-23) augments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in healthy dogs. Int J Immunopharmacol. 1997 Nov-Dec;19(11-12):655-9. Pilla R, Suchodolski JS. The Gut Microbiome of Dogs and Cats, and the Influence of Diet. Vet Clin North Am Small Anim Pract. 2021 May;51(3):605-621 Grześkowiak Ł, Endo A, Beasley S, Salminen S. Microbiota and probiotics in canine and feline welfare. Anaerobe. 2015 Aug;34:14-23. Bastos TS, de Lima DC, Souza CMM, Maiorka A, de Oliveira SG, Bittencourt LC, Félix AP. Bacillus subtilis and Bacillus licheniformis reduce faecal protein catabolites concentration and odour in dogs. BMC Vet Res. 2020 Apr 19;16(1):116. Digestibility and fecal characteristics of dogs fed with Bacillus subtilis in diet(https://doi.org/10.1590/S0103-84782010005000166) Khosravi M, Avizeh R, Zayerzadeh A, Gharibi D, Razijalali M. Effect of Bacillus subtilis and Bacillus coagulans spores on induced allergic contact dermatitis in dogs. Vet Med Sci. 2024 May;10(3):e1410. Matei MC, Andrei SM, Buza V, Cernea MS, Dumitras DA, Neagu D, Rafa H, Popovici CP, Szakacs AR, Catinean A, Stefanut E, Stefanut LC. Natural Endotoxemia in Dogs-A Hidden Condition That Can Be Treated with a Potential Probiotic Containing Bacillus subtilis, Bacillus licheniformis and Pediococcus acidilactici: A Study Model. Animals (Basel). 2021 May 11;11(5):1367 Starosila D, Rybalko S, Varbanetz L, Ivanskaya N, Sorokulova I. Anti-influenza Activity of a Bacillus subtilis Probiotic Strain. Antimicrob Agents Chemother. 2017 Jun 27;61(7):e00539-17.Kelley RL, Minikhiem D, Kiely B, O'Mahony L, O'Sullivan D, Boileau T, Park JS. Clinical benefits of probiotic canine-derived Bifidobacterium animalis strain AHC7 in dogs with acute idiopathic diarrhea. Vet Ther. 2009 Fall;10(3):121-30. PMID: 20037966. Kelley RL, Park JS, O'Mahony L, Minikhiem D, Fix A. Safety and tolerance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a canine-derived probiotic (Bifidobacterium animalis strain AHC7) fed to growing dogs. Vet Ther. 2010 Fall;11(3):E1-14. PMID: 20960415. O'Mahony D, Murphy S, Boileau T, Park J, O'Brien F, Groeger D, Konieczna P, Ziegler M, Scully P, Shanahan F, Kiely B, O'Mahony L. Bifidobacterium animalis AHC7 protects against pathogen-induced NF-κB activation in vivo. BMC Immunol. 2010 Dec 22;11:63. Bozkurt HS, Quigley EM, Kara B.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engineered to produce mycosporin-like amino acids in colorectal cancer prevention. SAGE Open Med. 2019 Jan 22;7:2050312119825784. Marelli SP, Fusi E, Giardini A, Martino PA, Polli M, Bruni N, Rizzi R. Effects of probiotic Lactobacillus acidophilus D2/CSL (CECT 4529) on the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boxer dogs. Vet Rec. 2020 Aug 22;187(4):e28. Kainulainen V, Tang Y, Spillmann T, Kilpinen S, Reunanen J, Saris PE, Satokari R. The canine isolate Lactobacillus acidophilus LAB20 adheres to intestinal epithelium and attenuates LPS-induced IL-8 secretion of enterocytes in vitro. BMC Microbiol. 2015 Jan 16;15(1):4. McCoy S, Gilliland SE.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species having potential for use as probiotic cultures for dogs. J Food Sci. 2007 Apr;72(3):M94-7. Baillon ML, Marshall-Jones ZV, Butterwick RF. Effects of probiotic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ain DSM13241 in healthy adult dogs. Am J Vet Res. 2004 Mar;65(3):338-43. Pascher M, Hellweg P, Khol-Parisini A, Zentek J. Effects of a probiotic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ain on feed tolerance in dogs with non-specific dietary sensitivity. Arch Anim Nutr. 2008 Apr;62(2):107-16.